콜마그룹 이사회, 전관 없지만 독립성은 글쎄

오너 학연·거래 관계가 이사회 구성에 반영 

한국콜마그룹은 5개 상장 계열사에 등기 임원 31명을 두고 있다. 20일 지구인사이드가 이들 경력을 살펴본 결과 정부나 유관 기관 출신으로 분류할 ‘전관’ 인사는 없었다.

사외이사 13명 중 6명이 학계 출신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5개 계열사 모두 여성 등기 임원을 두고 있었다. 한국콜마홀딩스, 콜마비앤에이치, 연우는 사외이사가 이사회 의장을 맡고 있다.

다만 이사회가 실질적으로 독립성을 갖추고 있는지에는 물음표가 남는다. 우선 이사 경력을 살펴보면 겹치는 면면들이 상당히 많다.

가장 많은 비중이 서울대 학력이다. 한국콜마홀딩스에만 이사회 8명 중 6명이 서울대에서 학위를 받았다.

윤상현 부회장과 윤여원 사장 [사진=한국콜마]

윤상현 한국콜마 부회장이 서울대에서 학사 학위를 받은 인물인 점과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HK이노엔과 연우도 각각 등기 임원 4명이, 콜마비앤에이치도 2명이 서울대 학위를 가진 인물들이다.

삼일회계법인 출신 등기 임원들도 한국콜마홀딩스에 2명, HK이노엔에 1명, 연우에 1명이다. 삼일회계법인은 한국콜마의 사업부 매각에 있어 자문을 맡은 이해 관계가 있다.

한국콜마는 베인앤컴퍼니 출신 사외이사를 두고 있는데 베인앤컴퍼니는 윤 부회장이 근무했던 회사다.

또한 윤동한 한국콜마 회장은 한국콜마와 콜마비앤에이, HK이노엔의 미등기 임원을 겸직하고 있다. 윤 회장은 2019년 직원 조회에서 임직원 700여명을 대상으로 보수 성향 유튜브 영상을 틀어 논란이 있었다.

한국콜마는 올해 배연국 전 세계일보 논설실장을 사외이사로 선임했다. 배 전 실장 역시 상당한 보수 성향 논조의 글을 써온 인물이다.

이사회 분석 시리즈

 

댓글 남기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