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팡은 블로거와 SNS 사용자를 대상으로 파트너스라고 하는 광고 방식을 운영하고 있다. 이들이 직접 만든 콘텐츠에 쿠팡 광고를 넣고, 이 링크를 통해 구매가 이뤄지면 수익을 나누는 방식이다.
광고를 클릭한 뒤 24시간 이내에 쿠팡에서 어떤 물건이든 구매가 이뤄지면 수익을 받을 수 있다. 그러다보니 쿠팡 광고를 클릭해야 콘텐츠를 볼 수 있게 하거나, 클릭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링크로 이동되는 일이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자극적인 콘텐츠에 쿠팡 광고가 붙으면서 일부 소비자들은 광고 방식에 부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다. “글로벌 기업 쿠팡이 왜 이런 식으로 광고를 해서 돈을 벌려고 하느냐”는 비판이 나오는 것이다.
그러자 쿠팡은 이달 파트너스 페이지에 운영 정책 공지를 올렸다. 이에 따르면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 ▲선정적이거나 혐오, 폭력적인 내용 ▲기타 관련법령 및 이용약관, 운영정책에 위배되는 경우 ▲음란성 게시물 기타 사회윤리적으로 허용될 수 없는 게시물에는 쿠팡 광고를 게재할 수 없다.
또한 음란하거나 선정적인 게시물을 게재하고 있는 타 사이트로 링크를 제공하는 경우나 기타 관련 법령에 위반되거나 건전한 미풍양속을 저해하는 내용 및 불륜관계, 근친상간 등 반인륜적 성행위를 자세히 소개하거나 흥미 위주로 묘사한 내용에 쿠팡 광고를 게재하면 이용 제한 조치가 될 수 있다.
쿠팡은 “최근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사이비 종교 등 선정적인 컨텐츠 내 쿠팡 파트너스 광고가 포함되어 부정적인 의견들이 나온다”면서 “선정적이거나 혐오, 폭력적인 컨텐츠 등 이용약관에서 제한된 컨텐츠를 통해 작성된 게시글 내 모든 쿠팡파트너스 광고가 노출되지 않도록 조치해달라”고 당부했다.
인터넷 커뮤니티 캡쳐
이어진 기사
쿠팡 "이태원·핼러윈 글에 쿠팡 광고 안 돼요"
쿠팡은 ‘파트너스’라는 이름의 광고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파트너가 쿠팡 상품 링크를 SNS나 웹사이트에 올려서 다른 이용자가 이를 이용해 물건을 사면 매출 일부를 수수료를 지급하는 방식이다. 그러다보니 ‘낚시성 제목’을 단 광고 게시글로 클릭 수를 올리려는 일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이태원 참사와 같이 국민적 관심도가 높은 사안과 관련된 글을 올리면서 쿠팡 광고 클릭을 유도하는 방식이다. 그러다보니 파트너스 활동으로 쿠팡 매출이 늘어나는 효과와 함께 기업 이미지가 나빠진다는 의견도 나오는 상황이다. 그러자 쿠팡은 최근 ‘이태원 핼러윈데이 사고 관련 공지’를 파트너스 웹사이트에 올렸다. 쿠팡은 “국가 애도 기간이 공표되고 온 국민이 슬픔에 빠진 상황인 만큼, 부디 파트너스 회원 여러분들께서 사고와 관련된 내용의 콘텐츠를 생성하지 않아 […]
"이직 확정 후 직무 변경 통보...쿠팡때문에 백수됐다"
A씨는 최근 경력을 살려 쿠팡 사무직 직원으로 이직하기로 했다. 면접을 치르고, 쿠팡과 근로 계약서 작성까지 마쳤다. 이미 전 직장에는 퇴사 절차를 밟았다. 그리고 쿠팡에 출근하기 이틀 전, A씨는 쿠팡 인사팀으로부터 “지원한 직무와 다른 직무로 변경하는 것에 동의하느냐”고 묻는 전화를 받았다. A씨는 “묻는 것이 아니라 통보였다”며 황당하다는 입장을 전했다. 인사팀이 A씨에게 갈 수 있겠냐고 물은 직무는 물류센터 운영에 맞춰 3교대 근무를 해야 한다. 물론 A씨는 해당 직무에 지원하지 않아 그 사실을 몰랐다. A씨가 사무실에 출근해 보니 앉을 책상과 자리가 없었다. A씨는 “재택근무 중인 다른 직원 자리에 앉아서 근무하라”는 말을 들었다. A씨는 결국 쿠팡 입사를 포기할 수 밖에 없었다. A씨는 직장인 […]
쿠팡 노동 환경 논란...이번엔 밥에서 '파리' 나와
국내 최대 온라인 쇼핑 기업인 쿠팡의 노동자 근무 환경을 둘러싼 논란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이번에는 근로자들에 제공되는 구내식당 식사에서 파리가 나왔다. 26일 쿠팡물류평택센터에 근무하는 제보자에따르변, 그는 최근 식사로 나온 국수에서 파리를 발견했다. 그는 별다른 항의 조치를 하지 못하고 식사를 버리고 굶은 채로 일을 했다. 제보자에 따르면, 평택센터는 삼성웰스토리가 구내식당 급식을 담당한다. 노동자들의 급식 위생은 소비자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제보자에 따르면, 쿠팡 평택 2센터는 로켓프레시라는 이름으로 배달되는 신선 재료를 다루는 냉장센터다. 근로자들이 먹는 식단에 문제가 있다면, 식중독 등에 걸린 채로 신선 식품을 만질 수 있다는 의미다. 쿠팡은 코로나19 환자가 발생했던 부천물류센터 폐쇄를 지연시켜, 대규모 확진자가 발생했다는 혐의로를 받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