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태우 전 대통령 별세 … 노소영은 왜 (주)SK 지분을 요구하나

노태우 전 대통령

노태우(89) 전 대통령이 26일 별세했다. 사위인 최태원(60) SK그룹 회장은 미국 출장 계획을 미루고 빈소를 방문했다.

최 회장이 빈소를 찾자 한 젊은 기자가 “고인과 관계가 어떻게 되시냐”고 물었다고 한다. 잠시 정적이 흐르고 최 회장은 말 없이 웃으며 들어갔다. 최 회장과 노 전 대통령의 관계를 모른 현장 기자가 벌인 해프닝이다.

최 회장은 조문 후 취재진과 만나 “마음이 상당히 아프다”라며 “오랫동안 고생하셨는데 아무쪼록 잘 영면하실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유족에겐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노 전 대통령의 딸 노소영(60) 아트센터 나비 관장과 최 회장은 1988년 결혼했다.


재산 분할로 1조 4000억원 주식 요구한 노소영


이때는 노 전 대통령 재임 당시다. 약 30년 만에 이혼 소송을 하게 된 이들은 (주)SK 지분을 두고 다투고 있다.

이혼 요구에 응하지 않던 노 관장은 최 회장이 보유한 지주사 (주)SK 지분 18.44% 중 42.29%가 자신의 몫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노 관장 측 주장이 그대로 받아들여지면, 현재 시가로 약 1조 4000억원 규모 주식을 차지하는 셈이다. SK그룹을 지배하는 지주회사로서 경영에도 관여할 수 있는 지분이다.


(주)SK 전신은 대한석유공사 … 1980년 민영화


(주)SK는 1998년 현재 상호를 달기 전까지 유공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즉 1980년 11월 인수된 대한석유공사가 (주)SK의 전신이다.

SK는 일본인이 남기고 간 기업을 해방 후 인수해 섬유업으로 사업을 시작했다. 이후 공기업 인수로 에너지, 통신 사업에 진출해 그룹을 키웠다. SK하이닉스 인수로 그룹을 한 단계 키웠다.

이처럼 SK는 시작부터 M&A(인수합병)로 사업을 키워온 그룹이다. 노 관장이 (주)SK 지분을 요구하는 데는 아버지 노 전 대통령이 대한석유공사 민영화에 역할을 했다는 주장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1980년도는 전두환 전 대통령이 군사 쿠데타로 정권을 장악한 시기다. 노 전 대통령은 전 전 대통령의 오랜 친구로 쿠데타에 협력했다.

하지만 이때는 노 전 대통령과 SK일가가 사돈을 맺기 전이다. 이들이 사돈을 맺은 것은 민영화가 이뤄진 7년 뒤다.

또한 당시에는 최태원 회장의 아버지인 최종현 회장이 경영을 맡았다. “(주)SK 지분은 상속으로 이뤄진 재산으로 재산 분할 대상이 될 수 없다”는 것이 최 회장 측 주장이다.

노소영 관장과 최태원 회장

SK텔레콤 지분은 요구할 수 없는 이유


SK텔레콤 역시 전신이 공기업이었던 한국이동통신이다. 인수는 사실상 노 대통령 재임 시절에 결정됐고 김영삼 정부 초반에 이뤄졌다. 탄탄한 공기업이 대통령의 사돈 기업에 매각돼, SK그룹 성장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노 관장이 SK텔레콤 지분을 요구할 방법은 없다. SK텔레콤은 지주사 (주)SK가 30% 지분을 가진 최대주주다. 최태원 회장이 직접 가진 지분은 거의 없기 때문이다.

체신부는 1990년 7월 ‘통신사업 구조조정’을 단행하며 한국이동통신 이외의 제2 이동통신 사업자 선정을 진행했다. 선경의 대한텔레콤이 사업자로 선정된다.

1992년 8월 당시 선경그룹은 사업권을 자진 반납한다. 당시 정부와 여당이 12월 있을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표심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칠까 우려했기 때문이다.

그 대신 1993년 김영삼 정부 출범 이후 이뤄진 한국이동통신 인수에 성공한다. SK 측은 SKT 창립 37주년 특별 기획 보도자료에서 “공개입찰을 통해 경영권을 인수해 정당성과 공정성을 모두 획득한 것”이라고 강조한다.

당시 주식 시장에서 시가보다 23% 높은 가격 프리미엄을 지급하기도 했다는 것으로 정당하게 얻은 제2이동통신 사업자를 반납하고 어려운 길을 걸었다는 설명이다.

최 회장의 이혼 소송이 진행되고 있는 올해 3월 이같은 자료를 배포한 SK텔레콤의 행보가 의미심장하지 않을 수 없다.

[SKT 창립 37주년 특별기획] 1편, 국내 1위 통신사의 탄생 [자료=SK텔레콤]

이어진 기사

SK최태원-NC윤송이, 화천대유 사건에 거론되는 이유

댓글 남기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