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바람직한 ESG 공시 도입 방향은?

[사진=최민정]

우리나라는 2025년을 시작으로 2030년까지 상장사들의 ESG 공시가 의무화될 예정이다.

그런 상황에서 31일 서울 영등포구 한국거래소에서 ‘바람직한 국내 ESG 공시제도 도입 방향’이라는 주제로 열린 KRX ESG 포럼 2023이 열렸다.

이날 이웅희 한국회계기준원 센터장은 “기관 투자자들이 기업들에게 그러면 지속 가능성이 기업한테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어떻게 관심을 갖고 대응하고, 위험들을 관리하고 있는지에 대한 신뢰성 있고 비교 가능한 정보를 강력하게 요구하기 시작했다”고 강조했다.

이 센터장은 “국내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 제정 방향은 국제 정합성을 갖추되, 국내 경영 환경의 특수성과 기업의 준비 상황에 따른 기업의 수용 가능성을 고려하여 일반 목적 정보 이용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기준을 제정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윤철민 실장 [사진=최민정]

재계를 대표해 나온 윤철민 대한상공회의소 실장은 “국내 기업들은 공시 결과가 부정적으로 나오는 것에 대한 우려가 있다”면서 “데이터 자체에 신뢰가 있어야 하는데 불확실한 통계를 가지고 공시를 했다가 책임을 지는 문제에 대한 이야기도 있다”고 말했다.

윤 실장은 “ESG 공시에 대한 법적 책임에 대한 면책 조항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다”면서 “탄소 배출량을 측정하는 시스템 구축에도 3~4년 정도가 들어갈 것이라고 보고 있다”고도 했다.

그러면서 정부 차원의 ESG 통합 플랫폼 구축과 인증 전문기관 설립과 전문 인력 양성 필요성을 언급했다.

유재숙 부장 [사진=최민정]

유재숙 한국거래소 ESG지원부장은 “ESG 공시 기준뿐만 아니라 공시 실무 가이드를 중심으로 한 교육 콘텐츠를 제작을 하고, 상장 기업들을 위한 온오프라인 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유 부장은 “기업들이 부담을 좀 크게 받지 않는 선을 고민을 하면서, ESG보고서를 미제출하는 경우 등과 같이 최소 요건을 미준수하는 경우에 한해서 불성실 공시법인으로 지정하는 등의 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왕겸 센터장 [사진=최민정]

이왕겸 미래에셋자산운용 책임투자전략센터장은 “ESG 공시 기준의 부재로 선택적인 정보 공시가 이뤄지고, ESG 리스크가 희석되거나 과소 계상되는 경향이 있다”면서 “동일 ESG 정보에 대해서도 기업 간 ESG 성과 비교가 어려워지며 오히려 투명하게 공시한 기업에게 부정적인 영향 발생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 센터장은 “투자 전략에 ESG 정보를 반영하기 위해선 신뢰할 수 있는 정보여야 하고, 경쟁사 간 비교가 가능해 투자 의사 결정에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소영 부위원장 [사진=최민정]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ESG 자체가 가치 판단적 요소가 있어 다양한 의견이 제시될 수 있는 만큼, 공시 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귀담아 듣겠다”면서 “보다 효과적인 기업 지원을 위해 관계 부처 정책금융기관과의 협력도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댓글 남기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