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제 기업들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평가받고 이에 대한 인증 마크를 달아야 하는 시대다. 국제지속가능성인증기준(ISSA) 5000은 지속가능성 공시의 일관성과 비교가능성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된 인증 기준이다.
과연 이 기준은 기업들에게 ESG 경영을 준비할 수 있는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을까. 3일 서울 여의도에서 ‘ISSA 5000 공개초안 – 주요 내용과 시사점’을 주제로 한국공인회계사회 포럼이 열렸다.
주제 발표를 맡은 황근식 한국공인회계사회 감사인증본부장은 “ISSA 5000은 인증 품질을 높일 것”이라면서 “내부 통제의 이해와 평가에 대한 지침을 명확히 제공하고 있어 지속가능성 정보 자것ㅇ 관련 내부 통제 개선을 더욱 촉진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다만 기업이 실제로는 환경에 이롭지 않은 자사 제품을 환경에 이로운 것처럼 홍보하여 이익을 얻는 행위를 뜻하는 그린 워싱(Green Washing)에 대한 대응은 부족하다고 평가했다.
황 본부장은 “ISSA 5000의 요구 사항과 지침은 대부분 기존 대무 보고 부정에 맞춰 개발된 것과 차이가 없다”면서 “현 공개 초안은 그린 워싱에 맞춘 요구 사항이나 지침이 부족하다”고 봤다.
그러면서 “그린 워싱에 초점을 맞춘 요구 사항과 지침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고도 했다.
인증을 대비하는 기업 실무자 입장에서는 보고될 주제를 결정하고 식별하는 판단이 필요하다. 황 본부장은 “기업이 통제할 수 있는 실체 정보만 공개할 것이냐 아니면 가치 사슬의 정보까지 보할 것이냐 이런 경계를 식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