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젬백스링크, 소액주주 17% 지분 의결권 인정 안 해
젬백스링크는 3월 주주총회에서 소액주주 연합 측 지분 중 16.82%의 의결권 행사를 인정하지 않았다.
이들이 모아온 위임장 중 일부는 진위 여부를 알 수 없고, 일부는 자본시장법상 공시 의무를 위반했다고 봤기 때문이다.
소액주주들은 이렇게 의결권이 제한된 주주총회가 위법하다는 주장과 함께, 선임된 경영진의 직무를 정지시켜달라는 가처분을 신청한 상태다.
2. 국민연금, KT 사외이사 추천 안 했다
KT의 최대주주인 국민연금이 최근 사외이사 예비 후보 추천 과정에 의사 표시를 하지 않았다.
KT는 주주들에게 사외이사 예비후보 추천을 받아 총 19명 명단을 확정했다. 이들 중 최종 사외이사 후보를 결정한다는 계획이다.
다만 국민연금이 추천한 인물이 KT의 정관 개정 작업을 하고 있는 지배구조 개선 TF에서 활동하고 있다.
또한 사실상 2대 주주인 현대차그룹은 사외이사 선임에 절대적인 영향력을 가진 인선자문단에 자신들을 대표하는 인사를 보낸 상태다.
3. 사조산업 주주들 “감사위원 확보가 목표”
올해 주총에서 현금 배당 확대와 액면 분할을 요구하고 나섰던 사조산업 소액 주주들이 향후 감사위원 확보를 위해 노력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사조산업은 최대주주 등 지분율이 60%가 넘는다. 단순 표 대결로는 소액 주주가 이길 수 없다. 다만 감사위원 선임에 대해서는 최대주주 의결권이 3% 제한되는 점을 이용해 경영에 참여하겠다는 의미다.

4. 공정위 “특허 보유 계열사는 ‘일감 몰아주기’ 예외”
공정거래위원회는 계열회사가 특허권 등 지식재산권이나 독자적 기술을 보유하고 있어 외부업체와 거래할 경우 거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려울 때는 일감 몰아주기 예외로 인정하기로 했다.
이미 공급된 물품의 부품교환을 위해 거래를 이어가는 경우도 제외된다. 5. “사외이사, 정권 전리품됐다”
권종호 건국대 교수는 25일 아시아경제 금융포럼에서 “‘정권의 전리품 된 사외이사’라는 기사가 나오고 있을 정도로 친(親)정부 인사들의 선임 관행이 심화됐다”고 지적했다.
권 교수는 “외환위기 당시 국제통화기금(IMF)으로부터 사외이사제 도입을 요구받았는데 당시엔 사외이사를 할 만한 역량과 전문성을 갖춘 인재들이 없었고, 이를 법적으로 강제하다 보니 요건은 충족하지만 전문성과 독립성이 미흡한 사외이사들이 양산됐다”면서 “미국의 경우 금융사를 예로 들면 금융전문가, 법률전문가, 업계의 고수(高手)들이 주로 이사회를 구성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