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아산공장에서 근무했던 A씨는 수개월간 상습적으로 퇴근시간이 되기 수십 분 전 작업장을 벗어난 ‘조기 퇴근’이 적발됐다. A씨는 해고됐다. 정도가 약한 다른 직원 B씨는 정직 처분을 받았다.
그러나 최근 현대차 전주공장에서도 주말 특근(특별 근무)시 특정 부서가 조기 퇴근을 한 사실이 드러났다. 직장인 익명 커뮤니티 ‘블라인드’에 제보가 올라왔고, 이달 15일 현대차는 전주공장 인사팀 주관으로 근태 실태조사에 나섰다.
그러자 노조는 반발하고 나섰다. 특근과 연장 근무를 거부하고, 5월 생산 협의를 중단한 것이다. 현대차는 국내외 공장별 생산 차종을 결정하기 위해 노조와 합의해야 한다.
28일 임만규 전주공장장은 담화문을 발표하고 “사전에 위원회 및 현장에 공유했음에도 (노조의) 극단적 선택에 대해 공장장으로서 안타까운 마음”이라고 밝혔다.
임 공장장은 “근무 시간은 현대자동차 직원이라면 누구나 지켜야 할 기본 원칙”이라면서 “근무 시간 미준수뿐만 아니라, 공장 출입 차량을 이용하거나 납품 차량에 탑승해 조기 퇴근하는 사례들이 너무 많다”고 지적했다.
임 공장장은 “특근 거부 및 협의 중단 투쟁을 한다는 것은 대외적으로 비난받을 일”이라고 비판했다.
전주공장장 담화문 [사진=블라인드]
그러나 노조는 “조합원 전체를 잠재적 조기 퇴근자로 몰아가서는 안 된다”면서 “블라인드 게시글로 현장 탄압을 자행한다”고 비판했다.
현대자동차 전주공장은 중대형 트럭과 버스를 만드는 상용차 전문 공장이다. 전주공장에서는 직원들의 근무 태만 문제가 심각했다는 비판이 나온다.
한 전주공장 노동자 C씨는 “15일 현장 조사 당시에도 식사 시간을 이용해 공장 밖에 임의로 나가 있던 인원이 100명이 넘었다”면서 “조기 퇴근자들에게 연락해서 ‘얼른 들어오라’고 할 정도라, 근태 잘 지킨 사람만 바보가 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사진=현대차 노조
이어진 기사
'킹산직' 18만 몰린 이유...현대차 연구직도 "호봉제 못 잃어"
사측 성과연봉제 요구…임금 협상 결렬 현대자동차가 10년 만에 생산직 400명 채용에 나선 결과 지원자가 18만명에 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차 생산직은 100% 호봉제로 돌아간다. 그러다보니 호봉이 쌓이면 억대 연봉을 받는 생산직도 흔하다. 생산직과 ‘왕(king)’이 합쳐진 ‘킹산직’이란 별명이 생긴 이유다. 다른 현대차 직군 역시 호봉제를 지키겠다는 입장이다. 현대차는 최근 연구직 직원들과 임금체계개선 협상에 나섰지만 결렬됐다. 사측이 인사 평가에 따른 성과 연봉제 도입을 주장했지만, 노조는 호봉제를 지키겠다고 맞섰다. 전국금속노동조합 현대차지부는 “조합원이 원하는 것은 연구직 직무 가치에 걸맞는 임금 인상과 합리적인 성과분배이지 불확실한 미래 임금과 동료 간의 무한 경쟁이 결코 아니다”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안정적인 호봉제를 폐지하자는 사측 요구를 노동조합은 결코 받아들일 수 없다”면서 “연구직의 […]
현대차, 이번엔 직원이 상사 폭행..."원치 않은 직무로 보내져"
한 현대자동차 지점에서 일하던 직원이 상사를 폭행해, 해고되는 일이 있었다. 직원 A씨는 원래 서비스센터에서 근무했으나, 최근 처음으로 지점으로 보내졌다. A씨는 생소한 지점 업무를 알지 못해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고, 지점 운영팀장과 갈등을 빚었다. 그러다 자신을 지적하는 운영팀장을 A씨가 폭행하는 일이 발생했다. 현대차는 A씨에게 해고를 통보했다. A씨는 “수긍할 수 없다”며 불복 의사를 밝혔다. 한 현대차 직원은 “A씨가 정신과적 문제가 있어, 근무 중 이상한 행동을 하기도 했다”고 전했다. 지난해 현대차에서는 남양연구소 팀장이 직원을 맥주잔으로 폭행하는 일이 발생했다. 그는 정직 3개월이라는 중징계를 받았다. 이어진 기사
"현대차는 성과급 또 받아?...그게 아니고"
현대자동차가 직원들에게 현금 400만원과 주식 약 180만원을 특별 성과금으로 지급한다고 17일 밝혔다. 그러자 일부에서는 연말에 성과금을 받고 또 받느냐는 의문과 함께, 노동조합이 과도한 요구를 하고 있다는 비판도 나왔다. 그러나 작년에 지급된 성과금과 올해 지급된 것은 성질이 다르다고 현대차 관계자는 설명한다. 작년에 지급된 성과급은 2021년 회사 실적에 따른 것이다. 현대차는 매년 4월 노사합의를 거쳐 성과금 규모를 결정해왔다. 그리고 8~12월 급여에 이를 반영하는 방식이다. 이런 방식으로 지난해인 2022년 실적에 대한 성과급은 올해 8~12월 지급된다. 그러나 2022년 깜짝 실적을 거뒀기 때문에 말 그대로 특별 성과금이 미리 지급된 것이다. 한 현대차 직원은 “보통 다른 기업들이 전년도 실적을 기준으로 연초에 성과금을 지급한다”면서 “현대차는 성과금 […]